화면 크기에 맞게 해상도 조절하기

 

Desktop version

-VM tools 이용

 

① VM 메뉴에 들어가 install VMware Tools Installation 클릭

 

 

 

② VMwareTools~ tar.gz 압축 해제하기

 

 

③ vmware-install.pl 실행하기

 

 

④ 시스템 재부팅 하기

 

 

⑤ View - Autosize - Autofit Guest 를 누르면 자동으로 해상도가 맞춰짐

 

 

 

Ubuntu 를 통해 java 설치하기

 

Ubuntu는 자바를 지원하지 않고 apt만 통해서는 자바를 바로 설치 할 수 없다.  그래서 몇가지 작업이 필요하다.

 

1.

 

 

2.

 

1과 2를 설치하여야 3을 실행할 수 있다.

 

3.

 

ppa : webupd8team/java; 는 1과 2의 apt-get을 통해 java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생각하면 된다.

 

4.

 

앞의 3에서의 ppa~ 의 저장소를 갱신한다.

 

5.

 

apt-cache search jdk를 사용하여 jdk의 버젼을 확인 후 최신으로 깔아 주면 되지만 예전에는 apt-get을 이용하여 jdk를 설치한 반면에 이제는 repository가 지원하지 않기에 java로 깔아 줍니다.

 

 

 

7.

 

 

8.

 

설치가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 하려면 java명령어를 쳤을 때 사용 법이 나오면 잘 설치 된 것이다.

 

 

환경변수 설정

 

 

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profile의 하단에 아래의 명령어를 추가시켜준다.

export JAVA_HOME=$(readlink -f /usr/bin/java | sed "s:bin/java::")

 

 

 

자바의 위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환경변수를 설정하여 준다.

 

 

편집내용의 파일을 저장하기에 이대로 파일을 저장해 준다.

. /etc/profile을 통해 명령을 실행시켜준다.

 

 

 

이지스 퍼블리싱 페이스북 이벤트에서 당첨된 책입니다! 겉에도 깔끔하고 저 캐릭터도 귀여운 것이 눈에 띱니다.

특히 저자 직강의 동영상 강의도 들을 수 잇고 소스도 전체 공개가 되어있어 혼자 공부하고 이해하기 좋을 듯 합니다.

저는 이미 3판을 구매한 상태에서 4판이 나왔으니 눈물을 머금고 3판은 내팽겨치게 되었습니다. 일주일 차이의 비애...

 

 

가장 좋은 것은 초급과 중금을 나누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겁니다. 어느정도 해야겠다 분량을 정하고 싶어도 적당히 나누는 것이 힘든데, 이 책은 그런 부분에선 자신이 공부할 수 있게 맞춰놔서 좋은 듯 합니다. Doit! 시리즈로는 파이썬 책만 주문해 보았는데 그 책도 이렇게 계획이 나와있어 체계적으로 따라 가기 쉬웠습니다. 단순한 실행 연습이 아닌 방법과 이론에 대해 먼저 깨우치게 하고 실습을 이뤄지게 하여 가장 좋았던거 같습니다.

 

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


1. DB 구축의 필요성

* 파일 처리 시스템의 특징



ex - 기술적 관리 및 통제

: 사용자 별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 제한

 

- 기술적 종속성으로 인한 비효율적

: 데이터 파일의 구조가 바뀔 때마다 프로그램을 수정해서 다시 컴파일 해야 하는 불편함

 

- 기술적 보안유지

: 데이터를 여러 곳에서 관리하다 보면, 주요 데이터의 유출 위험이 커짐

 

2. DB의 장단점

 

* DB의 장단점 : 모든 환경에서 DB 구축이 최선은 아니므로 장단점 분석 후 구축 여부 판단




3. DB의 개념적 구성 요소

 

*DB의 개념적 구성 요소

 

 


> 개념적 - 개체

-개체

정의: DB가 저장하는 유형, 무형의 정보 대상으로, 존재하면서 서로 구별될 수 있는 요소

특징: 파일 시스템에서 레코드에 대응함

단독으로 존재 가능하고, 정보로서의 역할이 가능함

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됨

종류: 유형의 개체: 사람, 집 등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개체

무형의 개체: 인사, 급여, 교과목 등 개념적으로 존재하는 개체

 

-속성

정의: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로, 이름을 가진 정보의 가장 작은 논리적인 단위

특징: 파일 시스템에서 데이터 항목혹은 필드에 대응함

단독으로 존재할 때는 대개 무의미함

 

> 개념적 - 관계

-관계

정의: 일반적으로 개체들 간의 의미 있는 연결 또는 연관성을 의미하는 요소

특징: 관계도 하나의 개체로 간주될 수 있음

속성 관계와 개체 관계로 세분할 수 있으며, 그냥 관계라고 하면 개체 관계를 의미함

 

유형: 일 대 일 (1:1) - 한 개 개체가 한 개 개체와 연관되어 있는 유형

일 대 다 (1:n) - 한 개 개체가 여러 개체와 연관성이 있는 유형

다 대 다 (n:m) - 여러 개체가 여러 개체와 연관성이 있는 유형


4. DB의 저장 구조 구분




(저장장치 관점 : 시스템 관점)

 

논리적 구조: 물리적 저장 장치 위에 저장된 DB의 저장 구조를 사용자 관점에서 본 것으로, 사용자가 생각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표현한 것

 

물리적 구조: 물리적 저장 장치 위에 저장된 DB의 저장구조를 시스템(저장 장치) 관점에서 본 것으로, 디스크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실제 구조를 표현한 것


'공부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데이터 베이스의 기본개념  (0) 2017.02.24
들어가기 전에  (0) 2017.02.24

+ Recent posts